클릭평택 이석구 기자 / 평택해양경찰서(서장 우채명)는 지난 19일 오후 11시 5분쯤 당진 석문방조제 인근 해상에서 야간 스킨 해루질을 하던 A 씨(50대)가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사고는 이날 평택해경 소속 당진파출소 육상순찰팀이 석문방조제 순찰 중 갯벌활동자의 불빛을 발견하고 구조 보드를 이용해 접근하면서 확인됐다. 당시 A 씨는 슈트를 착용하고 있었으나 의식과 호흡이 없는 상태로 발견됐다. 현장에서 즉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고 인근 병원으로 이송했으나 결국 사망 판정을 받았다. 정확한 사인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의뢰해 조사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사고는 이달에만 석문방조제 인근에서 발생한 세 번째 익수 사망사고로 해당 해역의 위험성이 다시 한 번 드러났다. 평택해경은 사고가 반복되는 만큼 안전 확보를 위해 강력한 통제에 나설 방침이다. 석문방조제는 총 11km 구간으로 1번부터 30번 지점까지 구분돼 있으며 주로 해루질 활동이 이뤄지는 23~26번 지점은 수심 변화와 조류가 빨라 사고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평택해경은 지자체와 협의해 22번~30번 지점을 출입통제구역으로 지정하고 이달 중 공고할 예정이다. 평택해경 관계자는 “
클릭평택 이석구 기자 / 평택해양경찰서(서장 장진수) 당진파출소는 본격적인 해루질 시즌을 맞아 9월부터 한국해양구조협회 드론수색팀 등 유관단체와 합동으로 석문방조제 해루질객 안전관리에 나선다고 밝혔다. 4일 해경에 따르면 석문방조제 총 길이는 10㎞에 이르는데 최근 소라, 바지락 등이 많이 잡히는 영상이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SNS상에 퍼지면서 주말, 휴일 평균 1000여명 이상이 찾는 해루질 명소로 부상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찾으며 최근 3년간 14건(사망 2건)의 사건·사고가 발생했으며 특히 24번과 26번 사이 방조제 갯벌은 밀물 시 출입로가 먼저 잠기는 지형적 특성이 있어 고립, 익사 등 높은 사고 위험성을 안고 있다. 특히 지난달 15일 오후 11시 35분쯤 석문방조제 25번 갯벌에서 해루질을 마치고 방조제로 이동하던 해루질객이 고립돼 해양경찰에 구조되는 등 석문방조제 해루질 시 높은 주의가 요구된다. 해경은 이에 석문방조제를 찾는 해루질객의 안전 확보를 위해 당진시와 협업해 방조제에 LED등을 설치했으며 한국해양구조협회와의 드론 합동 순찰, 군부대 TOD장비를 활용한 광범위한 순찰 등 민·관·군이 하나 돼 안전관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자
클릭평택 이석구 기자 / 평택해양경찰서(서장 서정원)는 13일 새벽 12시 52분쯤 충남 당진시 석문방조제 17∼18번 사이 갯골에서 야간 해루질에 나섰던 A 씨(64)가 연락이 두절돼 수색 중에 있다고 밝혔다. 평택해경에 따르면 지난 12일 오후 11시 30분쯤부터 A 씨는 B 씨(남)와 함께 석문방조제 인근에서 소라를 잡던 중 자정이 넘은 시간 이후 A 씨가 보이지 않아 B 씨가 112를 통해 신고했다. 신고를 접수한 해경은 바로 당진파출소 연안구조정 등 4척, 충남 소방정 등 2척, 민간 선박 1척 등 7척을 해상 수색에 투입하고 당진파출소 해안순찰팀 등 3명, 일반경찰 6명, 소방 10명을 동원해 육상 수색을 하고 있다. 또 평택해경은 사고 인근 해역에 평택해경 구조대를 투입해 수중수색을 진행하고 있다. A 씨는 휴대전화를 소지하지 않고 있어 위치 파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평택해경 관계자는 “A 씨를 찾기 위해 경비함정, 드론 등 수색 인력과 장비를 동원해 수색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