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평택 이석구 기자 / 평택시(시장 정장선)는 지난 13일 ‘평택시 탄소중립 추진 상황 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14일 시에 따르면 이번 보고회는 오는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42.9% 감축하는 목표를 재확인하고 이를 위한 세부 시행계획의 추진 상황을 점검했다. 보고회에는 평택시, 평택교육지원청, 평택산업단지관리공단, 평택상공회의소, 동우화인켐(주), 삼성전자(주), HL만도, LG전자(주), 평택에너지앤파워(주), 한국서부발전(주) 등 지난 2021년에 평택시와 탄소중립 협약을 체결한 주요 기관과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시는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인 173만 3912t을 달성하기 위한 ▲친환경 교통 ▲제로에너지 도시 ▲저탄소 농업 ▲폐기물 원천 감량 및 재활용률 증대 ▲흡수원 확대 등 5대 추진 전략과 추진 상황을 공유했다. 각 기관과 기업에서는 자신들의 특성에 맞춘 사업 추진 상황과 향후 추진계획을 발표하며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정장선 시장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은 우리 모두 함께 노력해야 할 중요한 과제”라며 “이번 보고회를 계기로 민관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탄소
클릭평택 이석구 기자 / 평택시(시장 정장선)는 오는 5월 31일까지 2024년 쌀 적정 생산을 위한 벼 재배면적 감축 협약 신청서를 받는다고 밝혔다. 20일 시에 따르면 쌀 적정 생산이란 전국적으로 과잉생산 되는 벼의 재배면적을 감축해 쌀값 안정과 쌀 수급 안정을 위한 정책이다. 신청 대상으로는 지난해 벼를 재배한 논에 올해 타 작물 재배 또는 휴경하고자 하거나 지난해 전략 작물 직불 또는 감축 참여를 이어갈 경우 신청할 수 있다. 신청은 해당 기간 내 농지소재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해 신청해야 한다. 쌀 적정 생산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참여 농가를 대상으로 공공비축미를 추가배정 해주고 법인의 경우 농식품부에서 추진하는 지원 사업에 가점을 부여해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벼 재배면적이 과다해 쌀값이 불안정한 상황”이라며 “이에 쌀 수급 안정을 도모하고 타 작물 재배 인센티브를 부여해 농가 소득 보전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클릭평택 이석구 기자 / 경기평택항만공사가 환경부로부터 10년 연속 온실가스 권장 감축률 달성 기관으로 선정되며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한 노력을 인정받았다. 21일 공사에 따르면 지난 7일 평택항만공사는 코엑스에서 열린 2021년 공공부문 목표관리제 성과보고회에서 2011년부터 2020년까지 매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을 달성함으로써 그 공로를 인정하는 공로패와 현판을 받았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 주관으로 열린 이번 행사에서 최상위 실적을 기록한 15개 기관은 대면 수상, 그 외 기관들은 비대면 수상으로 진행됐다. 평택항만공사가 수상한 10년 연속 감축 목표량을 달성한 기관은 총 37개이며 특히 지방공사공단은 3개 기관에 불과해 더 값진 성과를 이뤄냈다고 볼 수 있다. 공사 관계자는 “이번 수상을 통해 그간 노력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은 것은 공사 내·외부적으로 상당히 고무적인 일”이라며 “이에 안주하지 않고 태양광 발전설비 운영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률 효과를 극대화하여 정부의 탄소중립 사업에 적극 동참하겠다”고 전했다. 올해 평택항만공사는 차량 및 난방 유류 등의 온실가스 사용량에서 기준 연도 대비 무려 44.1%의 감축률을 달성했으며 최근 3년 연속 40%이